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츠하이머
- 원충
- 아이오딘
- 필수영양제
-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 #체중감량 #식이 #건강 #브롬우세
- 기생충
- 벤다졸
- 아이오디드
- 요오드
- 스테비아
- 피르비늄
- 포스파티딜세린
- 인공감미료
- 몽크푸룻
- 약화
- 구충제 종류
- 기생충 종류
- 신경전달물질
- 알벤다졸
- 사카린
- 알룰로스
- 아세틸콜린
- 펜벤다졸
- 에리스리톨
- 구충제
- 키토 #간헐적 #간헐적단식 #다이어트 #체중감량
- 당 #도파민 #인슐린 #건강 #체중감량 #중독
- 콜린
- 인지질
- 메벤다졸
- Today
- Total
끄적끼적
뜨거운 감자, 벤지미다졸 구충제 본문
최근에 핫한 이슈 중에 하나가 구충제로 잡는 암일 것이다.
스스로 임상을 진행한 암 환자분들 뿐만 아니라 현재는 당뇨, 비염, 여드름까지 구충제로 잡을 수 있고 한다. 이 정도면 만병통치약...
두꺼운 글씨는 수정된 내용이다.
기생충의 종류
_연충류
1. 연충류 : 원충에 비해 조직과 기관이 발달된 다세포 기생충 군. 선충, 유선형동물, 와충류, 흡충, 조충, 구두충, 환형동물 등이 있으나 주요한 인체 기생충은 선충류, 흡충류, 조충류다.
1-1. 선충류 : 선 모양의 기생충. 주로 익히지 않은 채소를 통해 감염이 된다.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 편충, 동양모양선충 등.
○ 선모충증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 또는 야생동물의 근육)
-소장 점막 침 입기 : 구토, 복부 경련, 복통,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유충 근육내 침입기 : 발열, 근육통. 심한 경우 심근, 폐, 중추신경계의 염증과 합병증으로 사망
-유충 피포기 : 근위축, 전신부종, 심근염, 각종 중추신경게 증상과 호흡기 장애. 합병증 : 세균성 폐렴, 뇌 침범, 폐전색, 심장마비 등.
- 치료 : mebendazole 또는 albendazole 장기 투여 = 최소 10일.
○ 악구충증
-악구충의 유충이 인체로 들어올 때 어떤 장기로 가느냐에 따라 병원성이 달라진다. 초기에는 상복부통, 오심과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이 있다.
-피하조직 : 피하조직 내 구멍/터널을 만든다. 가렵다.
- 중추신경계 : 사지마비가 동반되는 두개신경마비, 안진, 수막과민. 통증, 마비, 간질발작.
- 눈 : 이물감, 시력상실. 전포도막염과 녹내장 등의 원인
- 폐 : 기침과 흉통. 기흉
- 위 : 농양
- 치료 : 알벤다졸 장기 14-21일간 투여
○ 사상충
림프관 폐쇄.
1-2. 조충류 : 촌충, 길다란 기생충. 주로 익히지 않은 소고기, 돼지고기를 통해 감염된다.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돼지고기),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충의 유충 (낭미충) 등.
○ 뇌유낭미충증
-조충의 유충이 뇌에 꼬임.
- 치료 : praziquantel
○ 뇌낭충증
-유충이 뇌에 감염을 일으킴.
○ 스파르가눔증
-피하에서 이동한다. (완전 근지러울 듯 ), 뿐만 아니라 내부 장기(복강, 흉강, 척수, 안구 주위, 뇌 : 심한 두통 및 간질발작, 척수 : 하반신 마비, 등)에 침입 가능하다. 심한 염증 동반. 사람의 IgG항체(기생충 제거에 중요)를 분해한다. 일부 약제에 저항하며 후에 반드시 재발. 다수 감염 시 외과적 치료도 어렵.
1-3. 흡충류 : 디스토마. 주로 익히지 않은 민물고기, 우렁, 게 등의 어패류를 통해 감염된다.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혈관벽에 기생하는 주혈흡충 등.
○ 간질
1. 담도를 막을 때 : 간염, 간종대, 상복부 통증과 압통, 폐쇄성 황달, 복부팽만, 소화불량, 피로감 등.
2. 복강 내 장기화 폐, 피하조직 및 뇌
○ 주혈흡충증
잠복기에는 피부염이 생긴다.
급성기에는 주혈흡충의 종류마다 산란량과 부위가 달라 병변과 증상이 다르다. 충란에서 배출되는 항원에 의한 면역작용으로 융아종이 형성되고 점차 섬유화조직으로 변하는 만성적 경과를 취한다.
만성기도 마찬가지로 주혈흡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결국에는 암이나 결석으로 발전한다.
- 치료 : praziquantel
_ 원충류 : 포자 소제를 가지고 있는 난포낭. 고양이 똥(난포낭)을 치울 때나 돼지고기, 조류 등을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된다. 세포 내 기생충으로서 대식세포 등 거의 모든 세포에 감염되어 여러 가지 병변을 일으킴.
내용 추가
○ 말라리아 원충 (genus Plasmodium)
중간숙주 : 모기
12일의 잠복기 후 두통, 근육통, 무기력함, 복부 불편감, 40도가 넘는 고열, 뇌졸증, 정신병, 환각증이 생긴다. 증상 외에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되지 않으면 의식저하, 황달, 호흡곤란, 혈뇨, 저혈압등 주요 장기의 부전 증상으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톡소 플라즈마 (Toxoplasma Gondii)
중간숙주 : 옥외 활동을 많이 하는 고양이의 똥을 만질 경우 감염. (집고양이는 감염의 위험성이 높지 않음), 사람, 돼지, 조류, 쥐, 개, 소, 양, 감염된 익히지 않은 육류, 닭, 계란, 우유, 수혈, 장기이식
임신 3개월 내 임부가 감염될 시 일부 유산 혹은 사산이 있을 수 있다. 태어나더라도 뇌수종, 소두증, 뇌석회화가 나타날 수 있다. 때로는 무증상으로 지낼 수 있으나 수년 후 합병증이 나타난다.
성인은 잠복기 이후, 조현병 유전자가 있을 경우 감염 시 해당 원충이 정신분열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 크루스파동편모충 (Trypanosoma cruzi)
중남미에 환자가 많다. 중간숙주 : 침노린재류
샤가스 병 : 잠복기 1-2주가 지나면 원충이 체내에서 amastigot로 변형되고 분열증식을 하면서 조직을 파괴하고 주위 세포에 전염된다. 급성기의 대표적 질환으로는 고열과 부종, 간비대, 비장 비대, 섬유증, 림프관염, 심근염, 뇌수막염이다. 급성기를 지나면 만성적 결과를 밟게 되며 만성기에 급사하는 경우가 흔히 일어난다.
기생충 감염 시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1. 염증
2. 증식
3. 화생 : 원주상 상피세포가 편형 상피세포로 변함.
4. 조직 신생 : 암, 육아종
기생충 감염에 대한 화학적 요법의 목표
1. 죽이는 것, 항원충제 = 증식에 필요한 핵산과 단백질 형성을 저해한다.
기생충 중 원충은 숙주 내에서의 활발한 분열증식을 통해 병을 유발시킴으로 원충의 증식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 마비시켜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 구충제 = 성장과 운동을 억제하고 마비시켜 체외로 배출한다.
연충은 숙주내 체류, 성장과 운동성이 문제가 됨으로 당의 흡수 저지, ATP 형성 방해, 근싱경 연합부의 차단.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건 선충류, 흡충류, 조충류이기 때문에 원충은 뺀다.
구충제의 종류
1. 벤지미다졸과 그 외.
- 펜벤다졸 : 강아지 구충제, 신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간에 무리를 줌
- 알벤다졸 (일반) 1981 : 선충의 유충과 성충에 효과적인 치료제, 펜벤다졸과 비슷하지만 펜벤다졸 보다 훨씬 더 물에 잘 녹음. 알벤다졸과 플루벤다졸 둘 다 선충류의 치료에 이용되나 알벤다졸이 더 다양한 기생충에 작용한다. 400mg (아침과 저녁 총 800mg per day) 8일에서 30일간 복용하면 언급된 것들은 다 잡음.
부작용 : 두통, 간효소치의 증가와 백혈구 감소, 탈모, 골수억제.
기전 : 충체의 포도당 흡수관을 막아버려 글리코겐의 결핍(영양결핍)을 유도해 죽임. ( = 벤다졸 기전)
- 메벤다졸 (일반) : 광범위한 장내 선충류 감염에 사용. 다만 편충증에 대한 효과는 미약함. 기전 : 벤다졸 기전
- 플루벤다졸 (일반) : 회충, 구충, 요충에 효과적이며 편충, 포충, 개화충에도 사용 가능성 제시.기전 : 벤다졸 기전
- 트리클라벤다졸 triclabendazole (전문) 1977 : 간질증 및 폐흡충증에 효과적. 기전 : 벤다졸 기전
- 니클로사마이드 (일반) : 촌충 치료, 요충과 회충에는 효과 미비. 기전 : 충체의 ATP활성 억제(마비) , 포도당 대사 방해 (= 벤다졸 기전)
-Pyrvinium 피르비늄 : 요충 치료. 기전: 정확하게 나와있진 않지만 굶겨죽인다고 나와있다. 아마 벤다졸 계열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분자식은 많이 다르게 생겼다.
그리고 그 외,
- 프레지콴탈 (디스토시드)
조충과 흡충류의 감염치료제, 간질증과 스파르가눔증에는 효과가 미약.
기전 : 세포막 전해질 차를 증가시켜서 기생충의 조직을 수축시키고 마비를 일으킴. (= 마비)
- 구연산디에틸카바마진 Diethylcarbamazine citrate.
기전 : 미세사상충의 움직임 차단
부작용 : 구토, 천식, 몸살 ( 초기의 심한 부작용은 미세 사상충이 사멸하며 대량의 항원을 혈액 내에 유리하기 때문)
- 독시사이클린 Doxysycline
반크롭트사상충이나 회선 사상충에 효과
기전 : 사상충의 세포 내 공생체인 세균 Wolbachia를 죽인다.
- 아이버멕틴
반복투여 시 미세사상충 및 성충의 소멸에 효과. 하지만 재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반복 투여해야 함.
기전 : 충체의 말초신경을 마비시킴.
- 레바미솔
기전 : 충체의 부교감과 교감 신경절을 자극함 (마비)
- 피페라진
고전적인 약제, 회충에 효과적
기전 : 충체의 신경근육 이음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하여 마비 유도.
더 작은애들
-메트로니다졸 (metronidazole)
기전 : 약의 전자가 니트로기로 옮겨가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된다. 환원반응이 저산소 조건 하에서만 발생하므로 혐기성 세균에 효과적이다.
- 항 말라리아제 (pyrimethamine) + sulfonamide 급성감염
pyrimethamine이 엽산환원을 억제한다. 엽산 = DNA합성에 중요
sulfonamide 단독 사용 시 박테리아가 빠르게 내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약과 같이 사용한다. 호흡, CO2전달과 산-염기조절에 중요한 효소 Carbonanhydrase의 활동을 저해한다. 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녹내장의 약제로 사용된다.
- clindamycin + pyrimethamine 급성감염
톡소포자충에 효과적. 기전 : clindamycin은 박테리아의 단백질합성을 방해한다.
- tetracycline 급성감염
기전 : 박테리아의 rRNA의 결합을 방해해서 결과적으로 단백질합성이 멈춘다. 해당 독성은 진핵세포 숙주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의 30S리보솜 비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 sulfamethoxazole + trimethoprim 급성감염
sulfamethoxazole 엽산 환원에 필요한 효소를 억제한다.
trimethoprime 역시 엽산 환원에 필요한 효소를 억제한다.
- atovaquone 만성감염
기전 : 병원체의 핵산 합성을 파괴한다.
그러니까 ,
벤다졸 (약국) : 선충의 유충과 성충. 일부 편충. = 선충이나 일부 편충에 의해 나타나는 병증의 치료에 효과적
벤다졸 계열 그 외 : 충체의 신경마비 : 미세 사상충, 조충과 흡충에 효과 = 미세 사상충, 조충, 흡충에 의해 나타나는 병증에 효과적.
근데 얘네들이 바퀴벌레 같은 애들이라 약리에 내성이 생기면 다음에는 말을 안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게 중요할 것 같다. 아마 구충제 섭취를 앞두고 고민을 하고 계신 분이라면 복용 시, 매일같이 꾸준하게 먹으면 우선 간에 무리가 올 수 있으니 정기적으로 꾸준하게 드시는 게 좋겠고 또 기전이 다른 두 개의 약을 먹는 게 좋을 것 같다. 벤다졸 계열의 약만으로는 미세 사상충을 죽이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암의 원인인 기생충을 죽이는 구충제에 대해서 알아봤다. 다양한 기생충이 있는 만큼 어떤 구충제를 먹어야지 적절한 효과를 낼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를 미리 알면 좋을 것 같아서 공부를 해봤다.
그러고 보니 우리 몸에 기생하는 것들 중에서 아주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들은 대부분 포도당을 주식으로 살아간다. 당의 섭취를 줄이고 구충제가 효과를 잘 발휘할 수 있게 적절하게 건강한 기름을 섭취를 해준다면 약효과는 더 올라갈 것이다.
쓰다 보니 몸이 간지럽다.